목록문화예술교육 (5)
바람
평생학습사회의 도래와 문화예술교육(5) 나오며 ‘평생교육과 문화교육의 개념은 마치 만화경과도 같은 다면적 특성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어떤 평생교육의 관점이 어떤 문화교육의 관점과 만나는가에 따라서 그 결과물은 상당한 편차를 보일 수 있을 것이다. 만약 자격증을 취득하거나 새로운 노동 환경에 적응이 필요한 노동력 배양에 초점을 두고서 평생교육을 바라본다면 이러한 체제 아래서 이뤄지는 문화교육의 양상은 기예적인 성격이 강할 것이다. 하지만 국가 체제나 자본주의적 생활양식과는 일정한 비판의 거리를 두고서 평생교육을 바라본다면 시민교육이나 인본주의적 접근에 가까운 문화교육이 요청될 것이다.’ (이병곤:2003) 평생학습사회에서 문화·예술교육이 올곧게 삶의 학습으로 자리매김하고자 한다면, 문화를 향유하..
평생학습사회의 도래와 문화예술교육(4) 2. 변화하는 사회에 필요한 생애핵심능력과 문화교육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평생학습과 문화교육의 접점을 살펴보았다. 문화교육에 대한 다양한 접근 방식이 있겠지만, 평생학습사회 혹은 체제 안에서의 문화교육의 접점을 고민하여 보는 것이 본 글의 취지임을 다시 한 번 확인하면서 본 장에서는 평생교육과 문화교육의 연관성을 도래한 평생학습시대에 요구되는 생애핵심능력과 연계하여 논의를 전개하고자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현대 혹은 다가올 미래사회는 새로운 생애능력을 요구하고 있다. 다음의 표는 변화하는 시대와 그에 대응하는 생애핵심능력을 도표화 한 것이다. 시대적 흐름 새로운 시대에 요구되는 변화된 능력 대응 프로그램 정보사회∙지식 기반사회 -다양한 개성 -전문지식과 자기주도..
평생학습사회의 도래와 문화예술교육(3) 1-2. 문화예술교육 이해 더 큰 문제는 문화교육의 개념도 평생교육의 그것 못지않게 광범위하다는데 있다. 일찍이 슈프랑거는 “교육은 문화번식”이라 주장했는데(김정환: 1998) 이러한 표현은 한마디로 앞 세대가 창조한 문화를 다음 세대에 체득하도록 하는 작용을 지칭하는 것이다. 이는 단순히 문화적 내용을 ‘전달’하는 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다음 세대가 문화에 대한 의지를 갖도록 환기 시켜서 좀 더 높은 문화를 창조하도록 만드는 것이 교육의 궁극적 목표가 되어야 한다는 사상이다. 특히 슈프랑거는 문화를 정신적 도야의 관점에서 파악하고, 인간이 진정한 인간으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자신의 인격에 대한 이해와 공동체의 정신이 담긴 문화재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라 주장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