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DreamFactory (212)
바람
평생학습사회의 도래와 문화예술교육(3) 1-2. 문화예술교육 이해 더 큰 문제는 문화교육의 개념도 평생교육의 그것 못지않게 광범위하다는데 있다. 일찍이 슈프랑거는 “교육은 문화번식”이라 주장했는데(김정환: 1998) 이러한 표현은 한마디로 앞 세대가 창조한 문화를 다음 세대에 체득하도록 하는 작용을 지칭하는 것이다. 이는 단순히 문화적 내용을 ‘전달’하는 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다음 세대가 문화에 대한 의지를 갖도록 환기 시켜서 좀 더 높은 문화를 창조하도록 만드는 것이 교육의 궁극적 목표가 되어야 한다는 사상이다. 특히 슈프랑거는 문화를 정신적 도야의 관점에서 파악하고, 인간이 진정한 인간으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자신의 인격에 대한 이해와 공동체의 정신이 담긴 문화재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라 주장했다. ..
평생학습사회의 도래와 문화예술교육(2) 몸글 1. 평생교육체제 안에서 문화교육의 결합 가능성과 의미 아주 편안하게 접근해보자. 아래의 표는 평생교육과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사전적, 인지적, 법적정의를 비교하여 본 것이다. 사실 사전적 의미는 우리가 보편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개념을 정리해 놓은 것으로 가장 보편화된 정의라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인지적 의미는 현실에서 보통의 사람들이 체감하고 있는 정도의 의미로 보고자 한다. 법적정의는 한 국가가 정의한 근거를 통해 국가의 정책과 인식의 수준을 가늠해 볼 수 있는 잣대이므로 이들의 비교는 상당히 재미있는 비교가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표1> 평생교육, 문화, 예술교육의 사전적·인지적·법적 정의 비교 구분 사전적 의미 인지적 의미 법적 정의 평생 교육 교육이 ..
평생학습사회의 도래와 문화예술교육(1) 들어가는 글 평생학습사회라고 이야기한다. 광명시가 최초로 평생학습도시를 선언한 이후에 매년 평생학습도시가 꾸준히 증가하여 2006년 현재 57개의 지자체가 평생학습도시로 선정되었으며, 교육인적자원부는 2008년까지 43개의 평생학습도시를 추가 지정하여 100개의 평생학습도시를 조성할 계획이라고 한다. 매년 수십만이 운집하는 전국단위의 축제가 개최되고 기업에서도 평생학습의 중요성을 이야기하고 있다. 왜 평생학습이 이처럼 회자되고 있는가? 도대체 왜 평생학습사회인가? 먼저 이 질문에 대답이 필요한 것 같다. 그것은 평생학습사회 혹은 체제로 대변되는 상황 속에서 문화교육이 어떻게 함께 공존해 갈 것인가에 대한 화두를 던지는 출발점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평생학습의 대두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