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지금은 생각 중 (21)
바람
다문화사회 - 인종과 문화의 차이를 넘어 한 인간으로서 존중하고 존중받는 것 지난 2005년 인권과 민주주의의 선진국으로 알려져 있는 프랑스에서 이슬람계 이주민 청소년들의 폭동(?)이 있었습니다. 이 사건으로 도시와 학교가 불타고 사망자까지 발생하였으며 국가적인 비상사태로까지 비화되었습니다. 같은 프랑스 국민으로 살면서도 이슬람계 이주민들이 느끼는 차별과 소외가 부른 참사였습니다. 프랑스는 합법 이민자가 490만 명으로 전체 인구의 8.1%에 이르는 소위 말하는 다문화 국가입니다. 현 프랑스 대통령인 니콜라 사르코지도 헝가리 출신 이민자 아들일 정도로 개방적인 국가입니다. ‘인종차별 금지’를 법으로 명시할 만큼 다문화 사회의 모범답안지인 프랑스에서 이와 같은 폭동이 일어난 것은 아무리 훌륭한 법이 있어도..
평생학습사회의 도래와 문화예술교육(5) 나오며 ‘평생교육과 문화교육의 개념은 마치 만화경과도 같은 다면적 특성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어떤 평생교육의 관점이 어떤 문화교육의 관점과 만나는가에 따라서 그 결과물은 상당한 편차를 보일 수 있을 것이다. 만약 자격증을 취득하거나 새로운 노동 환경에 적응이 필요한 노동력 배양에 초점을 두고서 평생교육을 바라본다면 이러한 체제 아래서 이뤄지는 문화교육의 양상은 기예적인 성격이 강할 것이다. 하지만 국가 체제나 자본주의적 생활양식과는 일정한 비판의 거리를 두고서 평생교육을 바라본다면 시민교육이나 인본주의적 접근에 가까운 문화교육이 요청될 것이다.’ (이병곤:2003) 평생학습사회에서 문화·예술교육이 올곧게 삶의 학습으로 자리매김하고자 한다면, 문화를 향유하..
평생학습사회의 도래와 문화예술교육(4) 2. 변화하는 사회에 필요한 생애핵심능력과 문화교육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평생학습과 문화교육의 접점을 살펴보았다. 문화교육에 대한 다양한 접근 방식이 있겠지만, 평생학습사회 혹은 체제 안에서의 문화교육의 접점을 고민하여 보는 것이 본 글의 취지임을 다시 한 번 확인하면서 본 장에서는 평생교육과 문화교육의 연관성을 도래한 평생학습시대에 요구되는 생애핵심능력과 연계하여 논의를 전개하고자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현대 혹은 다가올 미래사회는 새로운 생애능력을 요구하고 있다. 다음의 표는 변화하는 시대와 그에 대응하는 생애핵심능력을 도표화 한 것이다. 시대적 흐름 새로운 시대에 요구되는 변화된 능력 대응 프로그램 정보사회∙지식 기반사회 -다양한 개성 -전문지식과 자기주도..